포렌식

[Whois] 정보보안교육 - 리버싱 어셈블러 핸드레이(2)

美味코드 2021. 10. 13. 22:46

* 핸드레이(1)에 기초적인 설명이 다 있으므로 새로운 내용 위주로 설명할 예정입니다.

 

* 잘 모르는 부분이 많았어서 설명이 부실할 수 있습니다.

 엄청 큰 공간을 필요로하는 것을 보고 배열이 떠올랐다.

제일 마지막 칸이 변수의 위치이다 그러므로 총 공간은 1020/4 인 255칸이 준비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lea와 mov의 차이는 lea는 주소값을, mov는 값을 넣어주는 것이다. 어셈블러에서 주소값을 기호로 [] 나타낸다.

이중 대괄호는 당황스러웠다. 이중 포인터인가?

0xf9(16) == 249(10)

반복문처럼 생긴 이것은 반복문이다. c언어의 for와 같다. 설명은 위와 같다.

배열에 저장을 하는 핵심 과정이다. 0번째부터 7번째까지 저장해주었다. 7번째는 0이었다.

써놓고 보니 c언어 내용이었다. 문자를 저장한 줄 알고 %c로 시도하였으나 뻥이 났었기에 %s로 하고 문자열로 출력해 주었다.

 

결과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