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렌식

[디지털포렌식] NONamed left side b

美味코드 2021. 7. 15. 03:16

left side b를 영어 그대로 해석했다.

이름이 힌트라고 하니 왼쪽으로 늘려 보았다.

bmp에서의 가로크기와 세로크기가 어디에 위치한지 알기 위해 bmp구조에 대해 구글링을 했다. 

.bmp 구조

형광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bmp파일의 가로와 세로이다. 마구잡이로 숫자를 변경했을 때 파일이 깨지는 것을 보아 이 방법은 아닌 것 같다.

 

그리고 HxD에서 파일 구조를 보던 중 색상은 00 또는 FF만 입력 가능한데 FF와 FE만 있는 것에 수상함을 느꼈고 LSB 스테가노그래피가 생각났다. 이름에서의 힌트는 left side b => lsb였다.

 

FEFF가 섞여 있는 부분에선 LSB1-2bit정도 바꾼다고 하는데 그 기법을 사용한 것 같다. 그래서 FE와 FF를 어떤 것으로 바꿔야 하나 구글링을 해봤다. (추천 검색어: bmp FF FE)

 

LSB로 생각했을 때 FE0 FF1로 생각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부분을 노가다 할 것이다.

010011

1001001110010001

0001111011011011

0001101001011100

1101110100011001

0101101110010111

1101101100011010

0101110011011101

0001100101011011

1001011111010010

0101000011010000

0101001110010111

1101101100011010

0101110011011101

0001100101011011

1001111101111111

 

우리가 입력해야하는 암호는 영어이기에 위 문자를 이진수에서 아스키코드로 변환할 것이다.

 

바이너리(2진수) -> 아스키 변환 주소

https://www.rapidtables.org/ko/convert/number/binary-to-ascii.html

정답으로 수정 전

변환을 했는데 마지막 한글자가 안 나왔다... 처음에 HxD에서 FE가 끝나는 부분까지면 바꿔준 것이다.

FE가 끝나는 해당 줄(00000170)까지 변환을 해주자

마지막 중괄호까지 나왔다.

 

<참고 사이트>

bmp 구조:

https://karfn84.tistory.com/entry/%EC%BB%B4%ED%93%A8%ED%84%B0%EC%9D%BC%EB%B0%98-%EB%B9%84%ED%8A%B8%EB%A7%B5BMP-%ED%8C%8C%EC%9D%BC-%EA%B5%AC%EC%A1%B0-%EB%B6%84%EC%84%9D

 

스테가노그래피 공부 및 FF, FE 숫자 정보: https://bpsecblog.wordpress.com/2016/08/21/amalmot_4/